치유활동가 교육
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‘마음:온-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’는 숨은 손길들이 있습니다. 참여자들이 마음을 열고, 자신의 상처를 나누고 서로 보듬을 수 있도록,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고민하고 마음을 더하는 사람들. ‘치유활동가'는 타인의 마음에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치유 활동가가 될 수 있습니다.
타인의 마음에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치유활동가
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드러내고 온전히 공감 받을 때 놀라운 치유적 경험을 하게 됩니다. 공감한다는 것은 특별한 전문 지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. 타인의 말을 편견 없이 깊이 주목해서 듣고 그 마음을 잘 들여다본다면 공감은 저절로 일어나는 일입니다. 그런 공감은 치유의 가장 큰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치유활동가는 타인의 마음에 진심으로 그리고 충분히 공감함으로써 그 사람이 치유적 경험을 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. 그런 과정에서 치유활동가는 자신의 마음을 더 잘 들여다보게 되며 또 다른 치유적 경험을 하게 됩니다. 치유 활동가가 된다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자신이 계속 치유되어가는 과정이며, 치유자로 성장해 가는 긴 여정이기도 합니다. 이런 과정이 지속하는 동안 치유 공기는 저절로 더 넓게 번져 나갈 것입니다.
치유원리 워크숍
- 치유활동가가 되려면 꼭 거쳐야 하는 첫걸음
치유원리 워크숍은 ‘나편’ 프로그램 6주 과정을 수료 또는 4회 이상 참여한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. ‘나편’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치유원리 워크숍을 이수한 치유활동가는 ‘나편’ 프로그램의 치유활동가로 활동할 수 있는 치유활동가 역할교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
치유활동가 역할교육
- 치유릴레이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치유활동가의 역할과 자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토대 마련
치유활동가 역할교육은 ‘나편' 프로그램의 운영을 맡는 진행/오퍼레이터/밥상 치유활동가의 각 역할에 필요한 역할별 실전 연습 과정이기도 합니다. 마음:온 프로젝트의 전체 콘텐츠의 의미를 이해하면서 치유활동가의 역할을 알아가고, ‘나편' 프로그램 안에서 각 역할의 운영과 흐름을 안내합니다.
○ 밥상 치유활동가 ○ 오퍼레이터 치유활동가 ○ 진행 치유활동가 |
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마음:온 은 숨은 손길들이 있습니다. 참여자들이 마음을 열고, 자신의 상처를 나누고 서로 보듬을 수 있도록,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고민하고 마음을 더하는 사람들. ‘치유활동가'는 타인의 마음에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치유 활동가가 될 수 있습니다.
타인의 마음에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치유활동가
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드러내고 온전히 공감 받을 때 놀라운 치유적 경험을 하게 됩니다. 공감한다는 것은 특별한 전문 지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. 타인의 말을 편견 없이 깊이 주목해서 듣고 그 마음을 잘 들여다본다면 공감은 저절로 일어나는 일입니다. 그런 공감은 치유의 가장 큰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치유활동가는 타인의 마음에 진심으로 그리고 충분히 공감함으로써 그 사람이 치유적 경험을 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. 그런 과정에서 치유활동가는 자신의 마음을 더 잘 들여다보게 되며 또 다른 치유적 경험을 하게 됩니다. 치유 활동가가 된다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자신이 계속 치유되어가는 과정이며, 치유자로 성장해 가는 긴 여정이기도 합니다. 이런 과정이 지속하는 동안 치유 공기는 저절로 더 넓게 번져 나갈 것입니다.
치유원리 워크숍 - 치유활동가가 되려면 꼭 거쳐야 하는 첫걸음
치유원리 워크숍은 ‘나편’ 프로그램 6주 과정을 수료 또는 4회 이상 참여한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. ‘나편’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치유원리 워크숍을 이수한 치유활동가는 ‘나편’ 프로그램의 치유활동가로 활동할 수 있는 치유활동가 역할교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
치유활동가 역할교육 - 치유릴레이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치유활동가의 역할과 자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토대 마련
치유활동가 역할교육은 ‘나편' 프로그램의 운영을 맡는 진행/오퍼레이터/밥상 치유활동가의 각 역할에 필요한 역할별 실전 연습 과정이기도 합니다. 마음:온 프로젝트의 전체 콘텐츠의 의미를 이해하면서 치유활동가의 역할을 알아가고, ‘나편' 프로그램 안에서 각 역할의 운영과 흐름을 안내합니다.
○ 밥상 치유활동가 - 세심한 준비와 정성으로 치유밥상을 총괄하는 치유활동가 ○ 오퍼레이터 치유활동가 -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콘텐츠 운영 전반을 담당하는 치유활동가 ○ 진행 치유활동가 - 참여자들과 소통하고 도와주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치유활동가 |
❑ 치유활동가 교육 과정 |
![]() | ||||||||
❑ 치유활동가 자기 약속 |
|